콩, 이소플라본과 칼슘 섭취
콩에 다량 함유된 기능성 성분인 이소플라본을 칼슘과 함께 섭취하면
폐경기 여성의 혈압 정상화 및 골밀도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최신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분자 구조가 유사한 이소플라본은 폐경기 증후군, 심혈관질환, 암, 골다공증, 고혈압 등 여러 질환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여성은 폐경기 전후로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줄어들면서 혈관이 수축해 혈압이 높아지게 된다. 이때 이소플라본을 섭취할 경우 혈관내피 산화질소 합성효소를 활성화시켜 산화질소(NO)를 생성해 혈관 내피세포의 이완을 돕고 수축을 감소시켜 혈압을 낮춰준다.
미국 텍사스 의과대학 연구팀의 연구에 따르면 콩에 있는 이소플라본이 혈압에 미치는 칼슘의 생리적 효과를 조절해 혈압 안정화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이 폐경기 전 여성 99명을 대상으로 최대 2년간 136.6mg의 이소플라본을 투여한 결과, 칼슘 농도가 최대치(1.46 mg/dL)일 때 수축기 혈압이 17.7mmHg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으나 칼슘 농도가 최저치(-0.45 mg/dL)일 때는 수축기 혈압이 13.81mmHg 증가했다. 반면 이완기 혈압에서는 이소플라본이 칼슘 농도와 무관하게 혈압을 감소시켰다.
즉, 이소플라본이 칼슘과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수축기 혈압을 정상화하는데 도움을 주며 이완기 혈압은 칼슘 농도와 관계 없이 이소플라본이 혈압 감소에 도움을 준다는 의미다. 이 연구는 SCI 등재 학술지인 유럽영양학저널(European Journal of Nutrition) 9월호에 게재됐다.
이 뿐이 아니다. 이소프라본은 폐경 전후 여성의 골다공증 예방에도 긍정적이다. 일반적으로 뼈의 대사과정에서 에스트로겐은 파골세포(뼈를 파괴하는 세포)의 뼈 재흡수를 방지함으로써 골다공증 예방에 도움을 준다. 하지만 폐경기 여성의 경우 에스트로겐이 급감함에 따라 골밀도가 낮아지고 골다공증이 많이 발생한다.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구조인 콩 이소플라본을 섭취하면 파골세포의 뼈 재흡수를 억제하고 골아세포의 뼈 형성을 촉진해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올해 6월 중국 베이징 PLA병원 연구팀이 국제식품과학영양학회지(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s and Nutrition)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콩 이소플라본이 칼슘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폐경기 여성의 골다공증 개선에 도움을 준다.
연구팀은 골다공증 또는 골감소증이 있는 폐경기 전후 여성 160명을 대상으로 위약 대조 임상실험을 진행한 결과, 이소플라본과 칼슘을 함께 섭취한 그룹이 이소플라본 또는 칼슘을 단독으로 섭취한 그룹 대비 골밀도와 칼슘, 비타민D 등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기로 에스트로겐 분비가 감소한 여성은 골 지표 중 하나인 오스테오칼신이 증가하면서 뼈 손실 속도가 빨라져 골다공증이 발현한다. 그런데 이소플라본과 칼슘을 함께 섭취하면 오세테오칼신이 줄어 골다공증 개선에 도움을 준다. 연구팀은 “칼슘이나 이소플라본을 단독으로 먹는 것보다 함께 섭취하는 것이 뼈 항상성을 유지시켜 골밀도 손실을 감소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한편, 콩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성질을 가진 이소플라본과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이다. 지난 7월 열린 한국식품과학회 대두가공이용분과 심포지엄에 따르면 장기간 콩 단백질과 이소플라본을 섭취하는 것이 유방암, 전립선암, 심혈관질환, 당뇨 등 만성질환의 위험성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며, 여러 연구 결과를 통해 남성은 전립선암, 여성은 당뇨 및 폐경기 홍조 등의 위험성이 절반 이하로 감소한 결과를 확인한 바 있다.
골다공증 환자 증가
작년 골다공증 환자 가운데 60대 여성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골다공증으로 진료받은 건강보험 환자 수는 지난 2015년 82만명에서 2019년 108만명으로 늘어 연평균 7.1% 증가했다.
작년 골다공증 환자 중 여성은 전체 94%를 차지해 남성 환자보다 16배 많았다. 골다공증은 뼈 강도가 약해져서 쉽게 골절되는 골격계 질환이다.
연령별로는 작년 골다공증 전체 환자 108만명 중 50대 이상 환자가 105만명으로 전체 97%를 차지했다. 40대 이하 환자는 3만명(2.8%)에 불과했다.
성별·연령을 종합하면, 60대 여성이 36만명(33.2%)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70대 여성(32만명)과 50대 여성(18만명)이 뒤를 이었다. 반면, 20대 이하 남성 골다공증 환자는 504명으로 가장 적었다. 이어 30대 남성(1102명)과 20대 이하 여성(1416명) 순이었다.
이소연 대한통증학회 전문의는 "50대 이상 여성 골다공증 환자가 많은 이유는 폐경기 이후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뼈 손실이 골다공증 원인으로 보인다"며 "또,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콩팥에서 비타민D 생산이 감소하고, 비타민D에 대한 민감도가 감소해 칼슘 흡수가 감소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골다공증에 대한 총 진료비는 2015년 1864억원에서 2019년 2827억원으로 연평균 11.0% 증가했다.
진료 형태별로 외래 진료비가 1515억원으로 연평균 17.8% 늘어 가장 빠르게 증가했다. 이어 약국이 1141억원, 입원 진료비로 172억원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진료비도 2015년 23만원에서 2019년 26만원으로 연평균 3.7% 늘었다.
이 전문의는 "노년층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골다공증 환자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며 "골다공증 자체로는 약물치료를 포함한 보존적 치료 외에 특별한 입원 치료가 필요로 하지 않아 외래와 약국 진료비용이 입원 진료비용에 비해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 술과 담배 등을 삼가고, 칼슘과 비타민 D 등을 보충해야 한다"며 "하루 30분 이상의 운동을 권장한다"고 조언했다.
칼슘보충제가 위험하다
우리 몸에 있는 무기질 중 가장 많은 성분이 칼슘이며, 칼슘의 99%는 뼈에 있다. 이에 따라 뼈 건강을 위해 칼슘보충제를 찾는 사람이 많다. 칼슘보충제는 건강기능식품 뿐 아니라 일반의약품으로도 나와 있다.
골감소가 진행 중인 사람이나 폐경기 여성 호르몬이 줄어든 사람에게는 칼슘보충제 섭취가 효과가 있다.
하지만 칼슘이 부족하지 않은 사람이 예방 차원에서 칼슘보충제를 먹으면 심장혈관을 망가뜨리는 등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다.
뉴질랜드 연구팀은 그동안 나온 칼슘보충제와 관련된 연구 결과를 종합분석한 결과, 칼슘보충제를 먹은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심근경색의 위험이 27%나 높았다는 논문을 2011년 세계적인 의학 학술지에 게재했다.
미국암협회가 칼슘보충제를 먹는 사람 38만8000여명을 12년간 추적조사한 결과, 칼슘보충제를 먹은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심근경색의 위험이 20%나 높다는 연구결과도 최근 발표됐다.
이같은 주장의 근거는 이렇다.
보충제로 섭취하면 한꺼번에 많은 양의 칼슘이 흡수돼 칼슘 농도가 갑자기 올라가 비타민D의 대사과정에 영향을 주고, 이로 인해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염증유발 물질이 많아진다. 또 몸에 쓰이고 남은 칼슘은 배출되지 않고 혈관에 쌓이기 때문에 혈관을 딱딱하게 만들거나 혈류를 줄여 혈전 생성 위험을 높인다고 한다. 칼슘보충제를 먹은 후 변비나 소화불량이 생기는 사람도 적지 않다.
따라서 칼슘은 음식을 통해 섭취하는 게 안전하다.
칼슘 농도가 올라가는 과정이 천천히 진행되고 남는 칼슘도 몸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몸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우유, 요구르트, 치즈 같은 유제품을 비롯해 깻잎, 브로콜리, 아몬드 같은 녹색채소나 견과류에도 칼슘이 풍부하다.
Comments